༚✧˳⁺⁎ 죽토리얼 ༚✧˳⁺⁎ 
코코포리아 간단 사용법 Ver 1.02
죾토리얼 2.5탄 - 부제: 이렇게까지 티알에 진심일 생각은 없었는데 -

(최종수정: 24.12.12)

 플레이어를 위한 코코포리아 간단 사용법입니다.
플레이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만 적어뒀습니다.


코코포리아로 GM을 하고 싶다! 하시는 분은 보다 영양가 많고 가독성 높고 정리 잘 된 코코포리아 사용법 글이 많으니까… 그쪽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무슨 일이든 마찬가지지만, 글을 읽는 것보다 직접 써보면 생각보다 더 쉽고 편리한 툴입니다.

따로 추가 수정 예정은 없지만 코코포리아 마스터링과 세팅 관련으로 궁금한 게 있다면 개인적으로 멘션이나 댓글 등으로 연락 주셔도 괜찮습니다!

 ※ 제 세션 플레이어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작성한 100% 주관적인 사용법입니다.

특히 채팅 탭이나 패널의 사용법은 룰과 GM에 따라 천차만별이니 참고만 해주세요. ※

 


 

코코포리아 메인 홈페이지
ccfolia.com

코코포리아 비공식 한국어 위키
notion.so/20f47d9872a2452fa12b1f8b74a90b3a

코코포리아 공식 트위터
twitter.com/ccfolia


코코포리아 픽시브 팬박스

ccfolia.fanbox.cc/

 


 

 

01. 메인

 코코포리아에 공식 홈페이지의 첫 화면입니다.
 아예 처음이라면 사이트 언어가 일본어로 표기됩니다. 우측 상단(초록색 박스) 언어 설정을 통해 공식 한국어 번역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계정이 로그인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 룸 목록이 나오고, 계정이 없는 경우에는 트위터나 구글 계정을 연동해 계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연동 계정과 프로필, 이름의 경우 시작 이후에 나오는 룸 목록 페이지 우측 상단의 프로필 이미지 클릭 - 계정 설정에서 변경하면 됩니다.

 

 가입 방법은 생략하고… 사실 플레이어의 경우 가입이 필수는 아닙니다! 자기 판단 하에 계속 필요할 것 같다 or 접속 멤버 리스트와 typing에 익명보다는 닉네임을 띄우고 싶다면 추천합니다.

 

▶ 사소한 주의사항

 방 링크만 있으면 가입 하지 않은 익명 사용자도 들어올 수 있는데 와중에 플레이어에게 패널과 캐릭터의 공개·이동·삭제, BGM 변경 등 권한을 정말정말 많이 준 툴입니다.
 세션방의 링크를 주고받을 때는 은밀하게 건네도록 합시다.

 


 

02. 세션 방에 들어가서

세팅은 필요없지만 빈 맵에 쓰려니 적적해서 세팅해뒀던 방을 복사해왔습니다.

 GM이 은밀하게 건넨 세션 방 링크로, 혹은 내 룸 목록에서 방 ID(주소 마지막 9자리의 영숫자)를 통해 세션 방에 들어오면 이런 구성의 화면이 나옵니다. 회색 박스 안의 메뉴는 마스터 기능이므로 해당 글에서는 서술하지 않습니다. 

 이 게시글에서 설명할 내용은 초록색 박스 처리된 메뉴로, 상단부터 순서대로 ① 내 캐릭터 목록 ② BGM 관리 ③ 채팅 탭 그리고 표시와는 별개로 ④ 필드 패널 에 대해서입니다.

 

※ 화면은 마우스 스크롤로 확대 · 축소, 좌 클릭 후 드래그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은 다른 플레이어에게 영향이 끼치지 않으니 자신의 화면에 맞게 설정합시다.

 

 

 


 

① 캐릭터 목록

 플레이어로 입장했다면 상단 메뉴 중 유일하게 활성화되어 있는 첫 번째 메뉴로 내 캐릭터 목록입니다.

메뉴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를 클릭해 캐릭터 추가, [×]를 클릭해 창을 닫을 수 있습니다.

 

 1-1. 캐릭터 편집
· 캐릭터 이미지: 캐릭터의 기본 프로필 이미지를 등록합니다. - 파일 첨부 방법은 최하단 서술
· 이름: 채팅에 출력되는 캐릭터의 이름을 작성해주세요.
· 이니셔티브: 캐릭터의 행동치를 의미합니다. 숫자가 클수록 화면 좌측에 표시되는 캐릭터 목록 상단에 위치됩니다.

· 캐릭터 메모: 간단한 설정, 특이사항 등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맵 토큰에 커서를 올렸을 때 내용이 표시됩니다.

[캐릭터 메모] 이런 식으로

· 토큰 사이즈: 필드에 표시되는 토큰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xy 값: 필드에 표시되는 토큰의 위치를 xy 값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로 이동하는 게 편합니다.
· 참고 URL: 코코포리아는 캐릭터 시트를 제공하지 않는 관계로 캐릭터 시트 혹은 프로필 등의 링크를 입력해둡니다. 별개의 하이퍼 링크를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사실상 메모의 기능과 유사합니다.


· 스탠딩: 메세지 박스에 표시되는 캐릭터의 스탠딩을 바꿀 수 있는 기능입니다.

[+] 버튼을 눌러 추가, [쓰레기통] 모양 버튼을 눌러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첨부 방식은 프로필 이미지와 동일합니다.

 라벨 양식은 '@라벨'이 가장 대중적이나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채팅창에 라벨 입력, 혹은 캐릭터 편집 메뉴의 [체크] 표시를 클릭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표정·행동 변경 스탠딩 외에 기본 스탠딩도 반드시 추가해야 합니다. (없으면 돌아갈 수 없습니다.)

 

대사와 함께 보낼 때는 반드시 채팅 가장 마지막에 라벨을 태그해야 스탠딩이 변경됩니다. 별도의 내용 없이 라벨만 전송하면 스탠딩은 바뀌지만, 메세지 박스에는 출력되지 않습니다. 
'@라벨' 형식이 아니더라도 '/라벨', 혹은 단순히 '라벨'만으로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 스탠딩은 어디까지나 부가적인 기능일 뿐 절대!!! 필수가 아닙니다 !!!

 

· 스테이터스: 생명력, 이성치, 마력 등 세션 진행 중 유동적으로 변하는 기능치를 표시합니다.

스테이터스에 기재된 기능치는 캐릭터 편집에 들어가지 않아도 필드 좌측의 캐릭터 목록을 통해 쉽게 변경 가능합니다.

스테이터스 수정 방법:

 ⑴ 스테이터스 수치 바의 끝을 좌우로 드래그.

 ⑵ 스테이터스 수치 표기 옆의 상하 표시 화살표를 클릭하면 1씩 상승·하락.

 ⑶ 채팅 탭에 해당 캐릭터 저널로 :HP+1 / :MP-5 / :HP=0 등 매크로 문구 입력.

 

· 매개변수: 스테이터스와는 달리 한 세션을 진행하는 동안 고정되어 있는 기능치를 의미합니다.

{라벨} 형식으로 채팅에 값을 불러올 수 있으며 위와 같이 시트 값을 넣는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는 인세인 특기 판정의 목표치지만, 세션 중 고정되어 있는 값이라면 모든 룰의 기능치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이걸 어느 세월에 하나하나 집어넣죠?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아래에서 서술합니다.

 

· 채팅 팔레트: 간단히 말하면 채팅 자동 완성 기능입니다.

 다이스 커맨드와 판정의 수식은 물론이고 콤보, 이모티콘, 어빌리티, 구구절절 치기 귀찮은 캐릭터의 중복 대사 등등 필요한 건 마음껏 넣어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시트에서 기능치 찾아서 주사위 굴리기가 보다 쉬워집니다! 이름 옆 문서 형태의 채팅 팔레트 버튼을 통해서 목록을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채팅 팔레트에서는 엔터로 각각의 채팅 커맨드를 구분합니다. 엔터를 사용한 두 줄 이상의 문장을 한 번에 출력할 수 없습니다.

 

 + 이건 또 어느 세월에 등록해요? 라고 하는 분들을 위해… 채팅 팔레트용 변환/API 자동화 시트 링크를 남겨둡니다.

더보기

- 더블크로스 3rd: 옷장 님(@4MOGH4) 제작 
- 시노비가미: 🐹 님 (@besthammi) 제작
- 크툴루의 부름 7판:
LITER 님 (@whale_sang) 제작
배액 님 (@baekkekkk) 제작
파무 (@PAMU_TRPG) 제작
- 인세인: 배액 님 (@baekkekkk) 제작

 

· 스테이터스를 비공개로 하기: 캐릭터 목록에서 스테이터스가 표시되지 않으며, 다른 플레이어가 캐릭터 시트를 볼 수 없습니다.
· 채팅 시 캐릭터를 표시하지 않는다: 메세지 박스에 캐릭터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 화면 캐릭터 목록에 표시하지 않기: 화면에는 캐릭터 토큰이 보이지만 캐릭터 목록에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GM 토큰 등)

 

1-2. 캐릭터 집어넣기

 캐릭터 목록에서 토큰을 클릭해 나온 스테이터스 창에는 왼쪽 그림의 박스와 같은 [캐릭터 집어넣기] 버튼을 클릭하여 무려!! 남의 캐릭터 시트를 내 주머니로 슬쩍 해올 수 있습니다. 
 물론 원래는 방에 나와 있던 캐릭터를 집어넣어 안 보이게 하는 기능이지만… 다른 사람의 캐릭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복사를 하지 않고 냅다 가져와 버리면 상대방은 캐릭터 권한를 잃어버리고마니 주의합시다(…).

 - 제가 마스터인 코코포리아 초심자 대상의 세션은 미리 간단하게 캐릭터 정보와 채팅 팔레트를 기입해 넣어두니 이 기능을 사용해 입에 맞게 편집하면 됩니다.

 


 

② BGM

직관적인 기능이라 짧게 작성합니다.

 프로필과 상단 메뉴 바로 아래에 위치한 기능으로 좌측부터 순서대로 음량 조절 바, 음소거 버튼, 정지 버튼, BGM 폴더 (2개) 입니다.

 BGM이 재생 중인 경우에는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동시에 2가지 음악을 재생할 수 있으며 BGM 버튼을 클릭해 파일을 추가하고 재생할 곡을 선택합니다. 음량 조절과 음소거는 개인 설정이나 정지(■) 버튼을 누르면 방에 있는 모든 멤버의 음악이 종료됩니다.

 코코포리아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 모든 플레이어들이 GM과 동일한 권한을 가지고 BGM을 재생·정지할 수 있습니다. 개인 효과음 연출에 유용하지만! GM과 미리 상의 후 사용하도록 합시다.

 

 BGM 폴더에서 음악의 수정 버튼을 클릭했을 때입니다. 다른 플레이어에게도 재생 제목이 동일하게 출력되므로 name 란에 곡 혹은 씬의 제목을 기입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설명은… 크게 필요없다고 생각해 생략합니다. 보이는 그대로의 기능입니다.

 


 

③ 채팅 탭

기본으로는 [메인], [정보], [잡담] 탭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메인: 롤플레잉과 다이스를 진행하는 탭입니다. 메세지 박스로 출력됩니다.
· 정보: 채팅창에 휩쓸리면 곤란한 중요 정보나 핸드아웃, 판정 포인트를 작성하는 탭입니다. 메세지 박스로 출력됩니다.
· 잡담: 말 그대로 잡담을 합니다. 메세지 박스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 버튼으로 동일한 기능의 탭을 더 생성할 수 있습니다. (GM·PL 모두 권한 있음)

 

캐릭터 이미지 클릭 - 캐릭터 선택

(좌측부터 순서대로)
· 캐릭터 선택: 박스 처리된 영역으로 클릭하여 내 캐릭터 목록의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화면에 토큰으로 나와 있지 않은 캐릭터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이름: 캐릭터 목록 외의 캐릭터를 이름을 바로 작성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지정할 수 없으며 스탠딩이 없는 NPC, 모브 캐릭터 등으로 이용하기 적합합니다.
· 채팅 팔레트: 채팅 팔레트 목록 창을 띄워주는 단축 버튼.
· 캐릭터 색상 선택: 캐릭터 이름에 표시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같은 플레이어라도 캐릭터마다 다른 색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다이스 봇에 대하여: 세션 방에 세팅된 다이스 봇의 수식 설명서입니다. choice, 감정표 기능 등 다른 툴과는 명령어 차이가 많이 있으니 초심자라면 한 번쯤 살펴보세요.
· 전송: 메세지 전송 버튼입니다. 엔터도 동일하게 기능합니다.

 

· 수정: 코코포리아 최고의 기능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이미 전송된 메세지를 채팅 로그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메세지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나오는 연필 버튼을 통해 사용합니다. 로그에서는 수정되지만, 이미 출력된 메세지 박스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탭 무관하게 그 이후 50개 이상의 메세지가 지나간 후에는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 1:1 대화: 메인 탭에서 다른 플레이어의 채팅 위에 커서를 올리면 상단 박스와 같은 화살표가 나옵니다. 화살표를 클릭하면 상대방의 계정 이름으로 1:1 대화 탭이 만들어져 해당 탭에서 상대방과 1:1 대화가 가능합니다.

 코코포리아를 로그인한 고정 계정이 아닐 시, 상대방이 방을 나갔다가 들어오면 해당 대화의 기록이 남지 않습니다.

 

 ▷ 미세 팁: 웹 브라우저의 자동 번역 기능이 켜져 있으면 채팅창 크기가 엉키거나 띄어쓰기 오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세션 전 자동 번역 기능을 꺼주세요.

 

 


 

④ 필드 - 패널과 카드 덱


 플레이어에게 많은 권한을 주기로 유명한 코코포리아… 플레이어도 전경·배경 설정/스크린·마커 패널 추가와 삭제에 카드 덱 생성까지 전부 다 할 수 있지만 전부 쓰면 밑도 끝도 없는 건 둘째 치고, 손 댈 일이 거의 없을 거라 생각해 생략합니다.

 채팅창 왼쪽에 위치한 흰색 연필 버튼으로 이것저것 추가할 수 있으며, 사용법 자체는 단순한 편이니 필요하면 시도해보세요!

 이 글에서는 카드덱 사용과 패널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서술합니다.

 

4-1. 스크린·마커 패널 (공개/비공개)

 상단 이미지에서 좌측은 공개된 패널, 우측은 뒷면이 설정되어 비공개 상태인 패널입니다.


 공개 패널은 패널 아이콘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는 것만으로 해당 패널에 적힌 메모를 읽을 수 있습니다. 패널 이미지 자체에 내용을 기입해 핸드아웃으로 사용하는 경우 확대 보기(클릭+E) 버튼으로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공개 패널의 경우, 오른쪽 마우스 클릭 메뉴로 내용 확인과 확대, 공개 설정이 가능합니다. 다른 플레이어에게도 누가 패널을 뒤집었는지 캐릭터 이름이 표시됩니다.
 더블 클릭 연속으로 자신만 보기-전체 공개-비공개 설정이 가능합니다.

 룰과 마스터 성향에 따라 스토리나 룰 설명, 알고 있었다 카드 등의 핸드아웃으로 다양하게 이용합니다. 단순한 장식용 세팅도 동일한 패널로 만들어 집니다.

 

4-2. 카드 덱

 패널을 쌓아서 만든 카드 덱 기능으로 기본적인 공개·비공개와 확인 방법은 패널과 동일합니다.
 덱을 더블 클릭하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의 뽑기를 클릭해 카드를 뽑을 수 있습니다. 처음 덱에서 카드를 뽑을 때는 '자신만 보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03. 파일 첨부

 코코포리아 세션 방에 파일을 첨부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합니다. 해당 방법은 모든 형식의 이미지, 음악 파일 등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1. 세션 방에 넣고 싶은 파일이 있는 폴더를 연다.

 2. 드래그 앤 드롭으로 폴더의 파일을 선택 폴더에 드래그해 추가한다.

 3. 적용해서 멋지게 사용한다.

가 전부입니다!! 편의상 폴더가 분리되어 있지만 전경 폴더에 있는 이미지를 스크린 패널이나 스탠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미지 선택 폴더 상단 좌측의 ALL / ROOM 버튼으로 코코포리아에 업로드한 모든 파일 / 해당 방에서 세팅된 파일만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캡쳐 이미지는 구버전으로 현재는 버튼이 상단에 있습니다.)

 

 서버나 세션 방 자체에 대한 용량 제한은 없으나, 10MB였나 15MB였던가… 파일 각각에 대한 용량 제한이 있습니다.

1MB가 넘는 파일은 파일을 압축해서 업로드할지를 질문하는 팝업창이 나옵니다. 이미지 파일에 경우 큰 차이는 없지만(주관), gif이나 apng 등 동화가 있는 파일의 경우 동화가 없는 파일로 압축되니 원하지 않는다면 확인 말고 취소를 선택하도록 합시다.

 

 ▷ 파일 삭제: 우측 상단의 휴지통 버튼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완전히 제거한 파일은 적용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스탠딩의 경우 지난 채팅 로그에서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04. 로그 백업

⑴ 코코포리아 기본 로그 ⑵ 코코로그 편집 후 로그

코코포리아 로그는 채팅 탭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 버튼에서 로그 출력 메뉴를 통해 백업할 수 있습니다.

전체 로그 출력: 잡담 탭을 포함한 모든 탭의 메세지를 모두 한 번에 html 파일로 출력합니다. 한 페이지에서 시간 순으로 메인 탭 RP와 잡담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로그 출력: 현재 화면에 띄워있는 1개의 해당 탭 내용만 html 파일로 출력합니다.

 

코코포리아 로그도 그만의 장점이 있지만 아무래도 색상이나 이미지가 없는 부분에서는 가독성이 좋지 않아서…  사실 쓰려던 파트도 아니지만 정말 잘 쓰고 있는 툴이 있어서 추천 차원에서 슬쩍 덧붙여둡니다.

 ▶ 코코포리아 로그 자동 변환 프로그램 코코로그 (사용법은 포스타입 참고)

  posty.pe/34xcqi

 

 !! 로그를 읽고 싶다면 꼭 알아야하는 사항 !!
 코코포리아 로그는 길이와 상관없이 최대 10,000개의 메세지까지만 저장되며, 그 이상은 과거순으로 로그가 삭제됩니다.

 세션이 길어지거나 잡담 탭도 함께 로그로 출력하고 싶은 경우 꼭!!! 틈틈히 세션 로그를 백업해둡시다.

아무래도 업데이트된 듯… (와~) 변경 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이상으로 코코포리아 듀토리얼(2탄)도 끝!!!

한 번 써두면 두고두고 쓸 거라 믿었는데 거진 1년 만에 티스토리 갈아엎고 코코포리아도 많이 바뀐 덕분에 또 쓰게 됐습니다.

팬박스 상위 버전으로 코코포리아 PRO도 나오고, 이것저것 계속 바뀌고 있는 듯 싶지만 링크나 소소한 수정 외에 대대적인 업데이트가 있진 않을 것 같습니다.

이미 고치고 싶은 게 많은데 외면 중이라 그러려면 처음부터 다시 써야할 듯 싶어서… 별개로 크게 오류나 변경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멘션이나 댓글 주세요! 확인하는 대로 수정하겠습니다.

 

서문에도 써뒀지만 세팅이든 사용법이든 (움직이는 토큰이나 문 열리는 연출, 컷인 사용법 등) 궁금한 게 있다면 제가 아는 선 안에서 답변해드릴 수 있으니 댓글이나 방명록, 티스토리와 연결된 트위터 계정으로 편히 물어보셔도 괜찮습니다.

즐거운 TRPG하세요. 감사합니다^___^)